책ㆍ문화
칼빈주석_로마서

칼빈주석 로마서 2장 25-29절

25 네가 율법을 행하면 할례가 유익하나 만일 율법을 범하면 네 할례는 무할례가 되느니라 26 그런즉 무할례자가 율법의 규례를 지키면 그 무할례를 할례와 같이 여길 것이 아니냐 27 또한 본래 무할례자가 율법을 온전히 지키면 율법 조문과 할례를 가지고 율법을 범하는 너를 정죄하지 아니하겠느냐 28 무릇 표면적 유대인이 유대인이 아니요 표면적 육신의 할례가 할례가 아니니라 29 오직 이면적 유대인이 유대인이며 할례는 마음에 할지니 영에 있고 율법 조문에 있지 아니한 것이라 그 칭찬이 사람에게서가 아니요 다만 하나님에게서니라 롬 2:25-29


25 네가 율법을 행하면 할례가 유익하나 바울은 유대인들이 자신들의 주장을 변호하면서 그의 주장에 반대하여 이의를 제시할 수도 있음을 미리 예상하고 이를 다룬다. 만일 할례가 주님의 언약에 대한 상징이라면, 그리고 주님께서 할례로 말미암아 아브라함과 그의 후손을 자신의 특별한 백성으로 택하셨다면, 그들이 이런 면에서 헛된 자랑을 한 것 같지는 않다.

그러나 그들은 할례라는 표적이 의미하는 바를 소홀히 여기고 오직 겉으로 드러나는 할례의 모습만 주시했다. 그래서 그는 단순한 표적 때문에 어떤 것에 대한 권리를 주장할 만한 근거는 전혀 없다고 답한다. 할례의 진정한 특성은 영적인 약속이며, 그 약속은 믿음을 요구했다.

그런데 유대인들은 그 약속과 믿음 둘 다 소홀히 여겼다. 이런 이유 때문에 그들의 확신은 무익한 것이었다. 갈라디아서에서처럼 바울이 여기서 할례의 주요 용도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 그들의 명백한 오류를 보여주는 쪽으로 이야기를 진행시키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우리는 이 점을 주의 깊게 눈여겨보아야 한다. 왜냐하면 바울이 할례의 전체적인 특징과 목적을 설명하고 있었다면, 은혜와 값없이 주시는 약속에 대해서 언급하지 않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는 갈라디아서에서나 로마서에서나 자기가 다루는 주제가 요구하는 바에 따라 이야기하고 있다. 즉, 그는 논쟁이 되고 있는 부분만 논한다.

유대인들은 할례 자체가 의義를 얻기에 충분하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바울은 그들 자신의 용어로 논증을 펴면서 다음과 같이 응답한다. 즉, 할례를 통해서 의를 얻기를 기대한다면 거기에는 한 가지 조건이 있는데, 할례 받는 사람이 자기가 하나님을 전적으로 온전하게 예배하는 자라는 사실을 입증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할례는 온전함을 요구한다.

우리의 세례에 대해서도 이와 마찬가지로 말할 수 있다. 어떤 사람이 마치 세례의식 자체로부터 거룩함을 얻기라도 하는 것처럼 오직 세례에 사용되는 물만 신뢰하면서 자기가 의롭게 된다고 생각한다면, 우리는 그러한 생각에 이의異意를 제기하면서 세례의 목적을 증거로 제시해야 한다. 즉, 세례는 주님께서 그 의식을 통해 우리를 거룩한 삶으로 부르시기 위한 것이다.

이런 경우에 세례가 우리에게 증거하고 인쳐 주는 은혜와 약속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가 상대해야 하는 사람들은 세례라는 공허한 그림자에 만족하면서 그 안에 담긴 진정으로 중요한 의미를 존중하지도 않고 고려하지도 않는 자들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바울에게서 다음과 같은 점을 주목할 수 있을 것이다. 그가 신학적 논쟁과는 별개로 표적에 대해서 신자들에게 이야기할 때는 그 표적이 가지고 있는 효력과 약속을 그들에게 연결시킨다.

그러나 표적의 특성에 대해서 알지 못하는 터무니없는 해석자들과 논쟁할 때는 그 표적이 가지고 있는 진정하고 고유한 특성에 대한 모든 언급을 일체 생략하며, 그들의 거짓된 해석을 반박하는 쪽으로 모든 논증의 방향을 잡는다.

바울이 율법의 다른 어떤 행위가 아닌 할례를 증거로 제시하는 것을 보고서, 그가 의식儀式에서만 칭의稱義의 개념을 박탈하고 있다고 추측하는 학자들이 많이 있다. 그러나 사실은 전혀 그렇지 않다. 감히 하나님의 의에 대항해서 자신의 공로를 내세우는 사람들은 항상 진정한 선善보다는 외적인 율법의 준수를 자랑한다.

그러나 하나님에 대한 경외로 말미암아 그 마음에 감동을 받은 사람은 어느 누구도 감히 눈을 들어 하늘을 우러러보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진정한 의를 얻고자 노력하면 할수록, 그는 자기가 그 의에 얼마나 많이 못미치는지 더욱 분명하게 깨닫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겉으로 거룩한 척하는 것으로 만족하는 바리새인들이 너무도 쉽게 스스로를 기만하는 것에 대해 우리는 놀랄 필요가 없다. 할례로 말미암아 자기들이 의롭게 되었다고 자랑하는 그들의 어설픈 핑계 말고는 유대인들에게 아무것도 남겨두지 않았던 바울은, 이제 그들에게서 그 무의미한 허세까지도 벗겨낸다.


26 그런즉 무할례자가 율법의 규례를 지키면 이 논증은 매우 설득력이 있다. 수단은 항상 목적보다 하위에 있으며 목적에 종속된다. 할례는 율법에 언급되어 있으며, 따라서 율법보다 하위에 있음이 분명하다. 그러므로 율법을 위해 제정된 할례를 지키는 것보다는 율법을 지키는 것이 더 중요하다. 여기서 우리는 ‘만일 무할례자가 율법을 지키면, 아무 효과가 없는 무익한 할례를 받고서 율법을 범하는 유대인보다 훨씬 낫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무할례자가 본성상 타락했다 할지라도, 율법을 지킴으로써 성화聖化되어갈 것이고, 그리하여 무할례는 그에게 할례와 같이 여겨질 것이다. 하반절에 사용된 ‘무할례’uncircumcision라는 단어는 그 고유의 의미로 받아들여져야 하지만, 상반절에서 그 단어는 사람을 물건 취급하듯 이방인들을 경멸적으로 일컫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우리말 성경에서는 ‘무할례자’와 ‘무할례’라고 번역함으로써 그 둘을 구분하고 있다 - 역자 주).

한 가지 덧붙이고 싶은 것은, 바울이 여기서 이야기하고 있는 대상인 율법을 지키는 자들이 누구인지 알려고 너무 안달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그런 사람을 찾을 수 없기 때문이다. 여기서 바울은 그저 ‘만일 율법을 지키는 어떤 이방인을 찾을 수 있다면, 무할례 상태의 그의 의義가 의롭지 못한 상태의 유대인의 할례보다 더 가치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假說을 제시하고자 했을 뿐이다.

그러므로 나는 다음에 이어지는 “본래 무할례자가 … 너를 정죄하지 아니하겠느냐”라는 구문이 사람이 아니라 그러한 상황을 예例로 들어 설명한 것이라고 본다. 이는 남방 여왕이 올 것이라는 구절(마 12:42)과 심판 때에 니느웨 사람들이 일어날 것이라는 구절(눅 11:32)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우리가 이런 견해를 가지는 것은 바로 바울이 사용한 말 때문이다. 그는 율법을 지키는 이방인이 율법을 범하는 자를 심판할 것이라고 말한다. 그 이방인이 무할례자이고 율법을 범하는 사람은 문자 그대로 할례를 받았더라도 그러하다.


27 율법 조문과 할례를 가지고 율법을 범하는 ‘율법 조문과 할례를 가지고’(with the letter and circumcision)라는 말은 환치법換置法에 따라 ‘문자 그대로의 할례로’(by literal circumcision)라는 의미이다. 바울은 유대인들이 문자 그대로의 할례를 받았기 때문에 율법을 범한다고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다.

그들이 외적인 의식儀式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을 영적으로 예배하는 일을 계속 소홀히 여겼기 때문에 그렇게 말하는 것이다. 즉, 그들은 율법의 가장 중요한 항목인 경건과 의義와 심판과 진리를 경시했다.


28 무릇 표면적 유대인이 유대인이 아니요 이 어구는, 진정한 유대인인지 아닌지는 타고난 혈통이나 신앙 고백에 의해서 혹은 외적인 상징에 의해서 판단되어서는 안 된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유대인임을 나타내는 할례는 겉으로 드러나는 표시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뜻이기도 하다.

진짜 유대인인지 아닌지, 그리고 진짜 할례를 받았는지 안 받았는지는 내적內的 차원의 문제이다. 진정한 할례에 대해서 바울이 덧붙이고 있는 발언은 성경의 여러 구절들에서 따온 것이며, 성경의 전반적인 가르침에 의한 것이기도 하다. 성경은 사람들에게 마음의 할례를 받으라고 도처에서 명한다.

그리고 그것이 바로 주님께서 해주시겠다고 약속하신 바이다. 포피包皮를 잘라내는 것은 단순히 몸의 한 부분을 살짝 베어 없애버리는 것이 아니라 모든 본성을 잘라내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할례는 육신 전체가 썩어 없어져 버리는 것이었다.


29 영에 있고 율법 조문에 있지 아니한 것이라 바울이 덧붙인 이 구문은 다음과 같이 이해해야 한다. ‘율법 조문’이라는 말은 경건함이 없는 외적인 의식을 뜻하고, ‘영’이라는 말은 이 의식의 영적인 취지finem를 의미한다. 표적과 의식儀式의 진정한 중요성은 그것이 가진 목적(a fine pendeat)에 달려 있다.

그러므로 이 목적이 제거된다면, 그 자체로는 아무 쓸모가 없는 율법 조문만 남게 된다. 바울이 이 말을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하나님의 음성이 들릴 때 인간이 그것을 신실한 마음으로 받지 않을 경우, 그분이 명하시는 모든 것은 율법 조문, 즉 사문死文으로(in frigida scriptura) 남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만일 하나님의 음성이 인간의 마음 깊이 스며들게 되면, 그 음성은 어느 정도 ‘영’으로 변화된다. 여기에는 예레미야가 예레미야서 31장 33절에서 주목한 것처럼, 옛 언약과 새 언약 사이의 차이가 암시되어 있다. 그 구절에서 주님께서는 자신의 법을 그들 속에 두고 그들의 마음에 기록한 후에, 자신의 언약을 승인하여 확정할 것이라고 선언하신다.

바울은 다른 구절에서도 이와 동일한 점을 염두에 두고 말한다(고후 3:6). 그 구절에서 그는 율법을 복음과 비교하면서, 율법은 죽어 있을 뿐만 아니라 죽이기까지 하는 ‘율법 조문’이라고 부르는 반면 복음은 ‘영’이라는 이름을 붙여서 돋보이게 한다. ‘율법 조문’이 진정한 의미를 가진 것이고 ‘영’은 비유적인 의미를 가진 것이라고 간주하는 사람들은 이 구절을 완전히 잘못 해석하는 것이다.

그 칭찬이 사람에게서가 아니요 인간의 눈은 단지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만 보기 때문에, 사람들이 자기들 생각에 근거해서 칭찬하는 것에 우리가 만족해서는 안 된다고 바울은 말한다. 사람들은 화려한 겉모습에 기만당할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러므로 오히려 우리는 마음속 가장 깊은 곳의 은밀함까지도 보시는 하나님의 눈으로 만족해야 한다. 이런 식으로 그는 거짓된 평판으로 스스로를 기만하는 위선자들을 하나님의 법정으로 소환하고 있다.

. [button color="green" size="25px" type="round" target="_self" link="https://gp.godpeople.com/archives/88037"] 칼빈주석 로마서 3장 1-8절 ▷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