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빈주석 로마서
8장

로마서 8장 23절 칼빈 주석

그뿐 아니라 또한 우리 곧 성령의 처음 익은 열매를 받은 우리까지도 속으로 탄식하여 양자 될 것 곧 우리 몸의 속량을 기다리느니라 롬 8:23

그뿐 아니라 또한 우리 … 우리까지도

어떤 사람들은 사도 바울이 여기서 우리가 장차 받게 될 복의 고상함을 과장해서 말하고자 했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피조물 중에 이성이 없는 것들만이 아니라 하나님의 영으로 말미암아 중생한 우리 또한 간절한 마음으로 그 복을 바라기 때문이다.

이 견해가 사람들의 지지를 받을 수도 있지만, 내가 볼 때 바울은 더한 것과 덜한 것을 비교하고 있는 것 같다. 그는 마치 다음과 같이 말한 것 같다. “우리가 장차 받게 될 영광의 탁월함은 의식과 이성(理性)이 없는 피조물들에게까지도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그것들도 그 영광을 열렬히 사모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하나님의 영으로 영적 조명을 받은 우리는, 우리 소망의 견고함을 붙들고 우리의 열정을 온전히 쏟아 부음으로써 훨씬 더 간절히 그토록 귀한 것을 갈망하면서 그것을 얻고자 애써야 하지 않겠는가?”

바울은 신자들 안에 두 종류의 감정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한다. 우선 그들은 ‘탄식해야’ 한다. 왜냐하면 그들은 현재의 비참함을 의식함으로써 괴로움을 당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들은 자기들이 해방될 것을 인내하며 ‘기다려야’ 한다. 그는 그들이 장차 얻게 될 복을 기대함으로 힘을 얻기를, 그리고 눈앞의 현실 너머 높은 곳에 마음을 둠으로써 현재의 모든 괴로움을 이겨내기를 바란다.

그리하여 그들이 현재 자기들이 어떤 상태에 있는지가 아니라 앞으로 어떤 상태가 될 것인지에 마음을 쓸 수 있었으면 하는 것이다.

성령의 처음 익은 열매를 받은

나는 ‘처음 익은 열매’(primitias)라는 단어를 흔하지 않으며 주목할 만한 탁월한 것으로 설명하는 사람들의 해석이 전혀 마음에 들지 않는다. 그러므로 모호함을 피하기 위해서 나는 그 단어를 ‘시작 단계의 것’(primordia)이라고 번역하고 싶었다.

나는 이들 해석자들처럼 이 표현이 사도들에게만 해당된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이 세상에서 겨우 몇 방울의 성령으로 뿌림을 받아 깨끗함을 얻게 된 모든 신자들에게 적용되는 것 같다.

혹은 탁월한 신앙의 진보를 이루기도 하고 많은 양의 성령을 부여받기도 했지만 여전히 온전함에서는 거리가 먼 사람들에게도 적용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러므로 사도 바울에게 이러한 사람들은, 완전히 수확이 끝난 것들과는 대조되는 시작 단계의 것 또는 처음 익은 열매이다. 성령의 충만함이 아직 우리에게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우리가 불안함을 느끼는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니다. 바울은 강조하기 위해서 ‘우리’라는 말을 반복하고 ‘우리 안에서’라는 말을 덧붙인다(우리말 성경에는 ‘속으로’라고 번역되어 있다 - 역자 주).

다시 말하면 우리의 욕구를 좀더 강렬하게 표현하기 위해서 그렇게 한 것이다. 그러나 그는 단순히 그것을 욕구라고 부르지 않고 ‘탄식’이라고 표현한다. 왜냐하면 우리는 자신의 비참함을 의식할 때마다 항상 ‘탄식하기’ 때문이다.

양자 될 것 곧 우리 몸의 속량을 기다리느니라

바울은 여기서 우리의 ‘양자 됨’을 우리가 하나님의 자녀로 입양되었을 때 받도록 되어 있는 그 기업을 누리는 것으로 언급하는데, 그것은 적절하지 않다. 그러나 그가 그렇게 한 데는 그럴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다.

왜냐하면 그는 하나님이 정하신 영원한 뜻의 극치인 약속된 부활이 확실하지 않다면, 그분의 뜻은 쓸모없게 될 것임을 나타내고자 했기 때문이다.

세상의 기초가 놓이기 전에, 하나님께서는 이 영원한 뜻에 따라 우리를 그분의 아들로 택하셨다. 그리고 그분은 복음을 통해서 이 사실에 대해 우리에게 증거하시며, 그분의 영으로 말미암아 우리 마음 가운데 그것에 대한 믿음을 인쳐주신다.

우리가 이 땅에서의 순례를 마치고 나서 하늘의 기업을 받지 못한다면, 하나님께서 우리의 아버지이신 이유가 무엇이겠는가? 그가 곧바로 추가하는 ‘우리 몸의 속량’이라는 어구도 이와 동일한 내용을 가리킨다.

우리를 구속(救贖)하는 데 필요한 값은 그리스도에 의해 치러졌다. 그러나 사망은 여전히 그 쇠사슬로 우리를 붙들어두고 있다.

사실 우리는 사망의 잔재(殘在)를 우리 안에 지니고 다닌다. 그리스도의 죽음으로 드려진 희생제사의 열매가 우리가 천상天上의 삶으로 새로워지는 것에서 드러나지 않는다면, 그분의 죽으심은 효과가 없는 헛된 일이 될 것이라는 결론이 여기서 내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