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DAISM LEXICON
이스라엘투데이

부정한 성적 행위, 우리엘, 우림과 둠밈, 무교절

부정한 성적 행위

성경은 어떤 성적 행위가 하나님의 시각에서 받아들여질 수 있고, 어떤 것이 혐오적인 것인지 분명한 지침을 제공해주고 있다.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주위 다른 족속들의 성적인 일탈 행위에 빠지는 것을 원치 않으셨기 때문에, 모세가 기록한 토라에 명령을 자세히 나타내셨다.

레18:6-23은 특별히 근친상간을 하나하나 열거하고 있는데, 히브리어로 다음과 같은 확고한 명령으로 끝맺는다. “너희는 이 모든 일로 스스로 더럽히지 말라 내가 너희의 앞에서 쫓아 내는 족속들이 이 모든 일로 인하여 더러워졌고” (24절)

레20:10-21과 신22:13-30은 성적인 부도덕성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 다음의 성적 행위들은 성경에서 금지하고 있는 것이다:

간음 - 이미 다른 사람과 결혼한 자와 성적 관계를 맺는 것

동성애 (레 20:13) - 동성과 관계를 갖는 것

근친상간 - 부모나 자녀 또는 형제, 자매 등 결혼이 금지된 친족과 성적 관계를 맺는 것

소아애 - 어린 아이들과 성적 관계를 맺는 것 (고전6:9)

임신을 막는 행위 - (자위 행위), 예를 들면, 오난의 경우 (창38:9)

매춘 - 돈을 받고 성적인 행위를 허락하는 일 (레19:29). 이것은 돈을 위해 자신의 딸에게 매춘을 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가나안 족속들(수2:1)과 블레셋 족속들에게는 매춘부가 있었다 (삿16:1)

월경 기간 동안 성관계 - (레15:24; 18:19)

수간 - 동물과의 성적 행동 (출22:18; 신27:21; 레18:23; 20:15)

복장 도착 - 남성과 여성 사이에 호색적으로 옷을 바꿔 입는 행동 (신22:5)

이러한 음란한 성적 행동은 ‘백성의 모든 가증한 일들’에 속한다 (왕상14:24). 흔한 예로 바벨론, 앗수르, 페니키아 (왕상11:5, 33), 블레셋 (삼상31:10), 가나안의 여신 아스다롯을 들 수 있는데, 그래서 성경에서 종종 ‘이방 신들을 행음하다’라는 표현을 볼 수 있다.

구약 시대에는 다윗 왕이나 솔로몬 왕, 그리고 다른 인물들처럼, 중혼 (두 명의 아내)이나 일부 다처제 (많은 아내들)가 성적으로 부도덕한 것으로 여겨지지는 않았다.

우리엘 -

문자적 의미로 ‘하나님은 나의 빛’이라는 뜻인 우리엘은 이 세상의 네 지역을 지키고 있는 네 명의 수호 천사장들 가운데 한 명이다. 정통유대주의 유대인들은 취침 기도 시간에 이 네 천사장을 언급한다: “이스라엘의 주 하나님의 이름으로: 나의 왼쪽에는 미카엘이, 나의 왼쪽에는 가브엘이, 내 앞에는 우리엘이, 내 뒤에는 라파엘이 그리고 내 머리 위에는 하나님의 셰키나 [임재]가 있기를.”

유대 신앙은 또한 우리엘의 이름이 모든 이스라엘을 위한 토라와 거룩한 말씀을 지키는 빛이기 때문에 그렇게 지어졌다고 가르친다. 외경 (구약에는 포함되지 않은 유대인의 글들)에서 우리엘은 또한 천둥과 지진을 다스린다고 묘사되어 있다. 조하르(유대인의 신비주의)에 따르면, 우리엘은 지혜를 타고 났으며, 그의 모습은 사자와 같다고 전한다.

Picture - 수호 천사

우림과 둠밈 -

제사장의 의복이 묘사되어 있는 출28장 가운데 30절은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너는 우림과 둠밈을 판결 흉패 안에 넣어 아론이 여호와 앞에 들어갈 때에 그의 가슴에 붙이게 하라 아론은 여호와 앞에서 이스라엘 자손의 흉패를 항상 그의 가슴에 붙일지니라.”

하나님께 국가적으로 중요한 질문을 제기할 때, 대제사장은 ‘예’ 또는 ‘아니오’를 알기 위해 우림으로 제비를 뽑았다 (삼상14:41-45). 또한 법적인 문제로 판결을 결정하기 위해 대제사장은 우림을 사용했다 (민27:21). 야훼라고 쓰여진 하나님의 이름 (히브리어 글자로 유드, 헤이, 바브, 헤이)이 아마도 우림 위에 새겨져 있던 것으로 보이는데, 이것은 “그가 하나님 앞에 왔다”라는 구절을 언급하는 것이다.

자신의 마지막 전투의 결과를 알기 위해서 사울왕은 우림을 사용했었다 (삼상28:6) 하지만 답을 얻지 못하자, 그는 하나님께서 금지하신 무당에게 물어보았다.

게마라 (미쉬나, 즉 구전법에 대한 해석으로 탈무드에서 발견된다)는 우림과 둠밈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자세히 묘사하고 있다 (요마73:71). 탈무드는 또한 소타48에서 제 1차 성전 파괴 이후 우림과 둠밈의 사용이 중단되었다고 언급한다. 이 책은 우림과 둠밈이 “죽은 자들이 일어나고, 메시아 벤 다비드 [다윗의 자손]가 임재 할 때”까지 다시 사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다.

탈무드에 따르면, 우림과 둠밈, 언약궤, 영원한 불 그리고 제사장들을 세울 때 바르는 거룩한 기름이 제 2차 성전에는 없었다고 전한다 (호라욧3, 47장). 유대 현인 람밤 (마이모니데스)은 대제사장들이 더 이상 거룩한 영을 소유하고 있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우림과 둠밈의 온전한 의미는 완전히 이해되지 못했었다.

무교절 (The Feast of Unleavened Bread)

히브리 달력으로 니산월은 페삭 (유월절)을 축하하는 시기로, 하나님께서는 유대인들에게 대대로 이 절기를 지키라고 명령하셨다(출12:2). 이 성일은 또한 무교절이라고도 불린다 (히브리어로는 하그 하마쫏) (출12:14, 15).

중요한 준비 사항으로는 철저한 봄 청소로 집을 먼지 하나 없이 만드는 것이다. 집의 어느 구석에도 효모 부스러기를 남기지 않도록 모든 틈까지도 꼼꼼히 청소한다. 정통유대주의 유대인들은 모든 부엌 용품들을 끓는 물에 넣어 코셔 (정결하게)를 만든다.

성일은 니산월 14일에 해질 때 시작되며, 가족과 친구들은 세데르라고 불리는 저녁 절기 식사를 위해 식탁에 모인다. 하가다 (성일 기도책)를 이용해 출애굽 이야기를 다시 전하고, 어린이부터 노인까지 식탁에 모인 모든 사람들은 식사 시간 동안 역할을 맡게 된다.

세데르 식탁은 상징적인 음식들로 가득 찬다. 사과, 포도주, 땅콩, 꿀을 섞어 만든 하로셋은 히브리 노예들이 이집트 주인들의 집을 건축하기 위해 사용한 모르타르를 상징한다. 마롤 (쓴 나물)은 노예의 괴로움을 상징한다. 고통의 빵이라고 불리는 마짜 (누룩 없는 빵) 역시 자유를 상징하는데, 이스라엘 백성들이 자유를 찾아 탈출 하기 전 서둘러 빵을 준비해야 했기 때문에 발효시킬 시간이 없었다.

무엇보다도 정강이 뼈는 희생 된 양을 상징하는데, 그 피를 이스라엘 백성들의 집 문설주에 칠했고, 이를 통해 이집트의 장자를 치러 온 죽음의 사자가 그 집을 넘어가게 했다.

유대인이든 이방인이든 메시아 되신 예수를 믿는 모든 성도들에게 마음에 감동을 주는 이 상징은 죄를 위해 희생 당하신 하나님의 어린 양을 나타내며, 그 피는 인류를 구원하기 위해 흘려졌다. 신약과 구약의 시각에서 유월절은 하나님의 자녀가 노예에서 영광스러운 구원을 얻는 것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Picture - 고통의 빵 (The bread of affliction)